MSDS 작성방법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화학 제품을 유통하기 위해서는 MSDS 를 반드시 작성해야 합니다.
회사마다 방침이 있으나 중소기업 등 자세한 정보를 모를때에는 아래와 같이 참고하여 작성하는 방법도 좋은 방법 입니다.
MSDS는 왜 작성해야 하는가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현 SDS)는 산업 현장에서 화학물질을 안전하게 사용하고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필수 문서입니다. 대한민국에서는 「산업안전보건법」 제110조에 따라 특정 유해화학물질을 제조하거나 수입, 사용하는 사업자는 반드시 해당 물질의 SDS를 작성해야 합니다. SDS에는 물질의 기본 정보부터 유해성, 응급조치 요령, 취급 시 주의사항 등이 포함되어 있어 작업자와 관리자가 화학물질을 안전하게 다룰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MSDS 작성시 유의사항
SDS는 총 16가지 항목으로 구성되며, 각 항목은 고유한 목적과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는 ① 화학제품 및 회사에 관한 정보, ② 위해성·유해성 정보, ④ 응급조치 요령, ⑨ 물리적·화학적 특성, ⑪ 독성 정보 등이 있으며, 각 항목을 빠짐없이 작성해야 합니다. 특히 물질의 성분 명칭, 함유량, CAS 번호 등은 반드시 정확하게 기재되어야 하며, 허위 또는 누락 시 과태료 등 행정처분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작성 시에는 국제 기준인 GHS(Global Harmonized System)에 따라 물질의 위험도를 분류하고, 이에 따른 경고 문구 및 표시 내용을 정확히 반영해야 합니다. 만약 외국에서 수입한 제품이라면 기존의 영문 SDS를 참고해 국내 법령에 맞게 한글로 재작성해야 하며, 이때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KOSHA)이나 화학물질안전원(NICS)에서 제공하는 가이드라인을 적극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작성 도중 성분 유해성, 분류 정보 등을 확인하기 어려운 경우, 화학물질정보시스템(Chemical Info System) 등을 활용하면 큰 도움이 됩니다.
MSDS 작성 후 관리
MSDS는 한 번 작성하고 끝나는 문서가 아닙니다. 물질의 성분이 변경되거나 관련 법령이 개정되면 반드시 내용을 갱신해야 하며, 최신 버전이 작업자에게 제공되어야 합니다. 또한, 작성된 SDS는 작업장 내 누구나 쉽게 열람할 수 있도록 비치하고, 관련 근로자들에게 내용을 충분히 교육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정확하고 체계적인 SDS 관리가 곧 작업자 안전의 첫걸음이며, 기업의 신뢰를 높이는 핵심 요소임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MSDS 작성시 참고 사이트
안전보건공단 화학물질정보 | MSDS 작성
msds.kosha.or.kr
보통 회사에서는 자사 양식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나 자사 양식이 없는 경우 하기와 같이 MSDS를 작성하면 편리하게 작성할수 있습니다.
하기처럼 작성이 완료 되면 임시저장에 들어갈수있는데 편집을 누르면 회사정보 및 수정을 할수 있습니다.
MSDS 상 회사정보 기입 및 물리화학적 특성 등 추가 정보를 MSDS에 기입하면 아래와 같이 작성이 됩니다.
제가쓴것은 예시로 작성한것이며 추가정보는 회사에따라 자세한 정보를 기입하면 좋습니다.
화학제품 취급하는 유통 또는 단순 취급업자라면 MSDS 작성에 어려움을 겪습니다.
MSDS 는 전문 화학지식이 있는 사람(예: 산업위생기사, 화학 전공자, 환경안전 담당자 등)이 작성하거나, 최소한 전문가의 검토를 받는 것이 가장 안전하고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필요 시 외부 전문가나 SDS 전문 작성 서비스를 활용하는 것도 좋은 선택입니다.
MSDS 작성 후 KMS에 등록하는 방법도 알아야 하는데요. 다음글은 KMS에 MSDS 등록하는 방법을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다음글은 아래 링크를 참고 하여 주세요
https://idea05871.tistory.com/2
'MSDS 작성시 요령'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학물질관리법 총정리 (1) | 2025.07.29 |
---|---|
KMS에 MSDS 등록하기 (0) | 2025.07.23 |